조선 22대 정조(正祖, 1776~1800 재위)는 역대 어느 왕보다 궁궐 밖 행차가 많았으며 특히 아버지 사도세자가 모셔진 현륭원(顯隆園) 참배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정조는 1789년에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花山으로 이장후 모두 13번에 걸쳐 화성을 방문하는데 그 첫 번째가 1789년에 양주 배봉산에 모셔진 부친의 묘소 영우원 천봉에 따른 배례이며 이후 열두번은 현륭원 전배에 따른 능행이였다. 정조의 능행 거둥길은 초기에 남태령과 과천을 지나 안양의 인덕원을 지나는 과천로를 이용하다가 1795년 6차원행 부터는 시흥과 안양의 석수동을 거쳐 구군포 사거리를 지나는 시흥로를 이용하였다. 시흥로의 개설은 조선 후기 시흥현에 속하던 안양의 발전에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된다. 우선 새로운 신작로 개설에 따른 교통로의 발전은 이후 경부 철도와 함께 국도 1호선으로 경기도와 안양의 근·현대화 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된다. ○정조대왕 안양 사람들을 만나다정조 17년인 1793년은 현륭원의 4차 원행으로 과천로인 인덕원을 지나는 거둥길이였다. 음력 1월 12일 창덕궁을 출발한 원행길에서 인덕원 들녘을 지나며 부로(父老)들을 불러 위로하고 “고통스러운 것이 무엇인지 물었다”. 지역의 현안 사항과 민심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위로와 격려를 준 것으로 추정되는 안양 사람과의 만남이라 할 수 있다.그리고 1795년 9월 만안교가 완성과 함께 안양주필소를 치장하게 된다. 이때 정조는 시흥로의 공역에 따른 물력과 비용을 세세히 살펴보고 하명한 사실에 대하여 보고를 받는다. ○ 어머니와 말방울을 울리며 만안교를 건너다.시흥로 개설후 첫 원행인 1795년 6차 원행은 다른해에 비하여 매우 특별하였다. 우선 정조가 즉위 20년을 맞는 해이며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윤2월 13일 화성행궁내 봉수당에서 성대하게 개최키로 한 뜻깊은 날이었다. 그러나 무엇 보다도 이해 1월 21일은 아버지 장헌세자의 舊甲일로 매우 각별한 해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정조의 윤2월 원행은 농번기를 피하여 원행을 하는 이유와 더불어 아버지에 대한 애절한 추모가 함께 담긴 의미있는 노정길이었다. 따라서 정조는 윤2월 9일 새벽 창덕궁을 떠나 다음날 윤2월 10일 아침 시흥행궁을 출발한 원행은 석수 전철역 부근인 대박산 앞길과 관악 전철역 근처의 염불교 그리고 만안교(나무다리)를 건너 안양행궁 앞에 이르게 된다. 이때 정조는 말을 멈춘 후 자궁에 어가를 받들어 잠시 머물게 하고는 미음 다반을 올린 후 원행을 출발케 하였다. 또한 원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귀경길인 윤2월 16일에도 의왕의 사근참 행궁에서 점심을 들고 안양교(만안교) 앞에 이르러 어머니에게 미음 다반을 올리게 된다. ○ 만안교의 완공과 인근 백성의 평안을 기원하다.정조가 완공된 만안교를 건너게 된 것은 1796년의 7차 원행이었다. 만안교(萬安橋)는 1795년(정조 19)에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 서유방이 3개월의 공사를 거쳐 그해 9월에 완성한 돌다리로 비문에는 만안교라는 이름을 정조가 하사했다는 것과 다리의 완공으로 인하여“ 은혜가 만백성에 미치니 마음놓고 건넘에 환성을 울리고 천년만년 편안하기 반석과 같다.”하여 교량 명칭에 대한 정조의 애민정신과 치세(治世)의식을 읽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안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사람 많이 본 기사
|